어깨충돌증후군 구조적인 원인과 증상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깨충돌증후군 구조적인 원인과 증상

by 우라아미님 2023. 3. 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어깨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인 문제로 어깨 관절의 견봉하공간이 좁아져 견봉하조직의 공간을 침해하게 충돌 또는 압박으로 불편함이나 통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어깨충돌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견봉하공간은 무엇일까요? 

위에 사진을 보시면 알기 편하실 거예요, 

상부에는 견봉의 전방 1/3지점, 견쇄인대(AC joint), 오웨견봉인대가 있습니다.

하부에는 상완골두가 있는 공간입니다.

그래서 상부와 하부 사이의 1~1.5cm 높이의 공간을 이야기 합니다.

 

구조적인 메커니즘 1/3

1) 건과 활액낭의 문제입니다.

-견봉하공간의 건 또는 활액낭의 염증으로 견봉하공간의 전체 공간이 감소되고, 견봉하공간 내 조직이 압박되어 어깨충돌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어깨충돌증후군 환자에게서 견봉하공간의 건 퇴행이 관찰되는데, 이는 어깨 움직임 시 발생되는 장력의 과부하 또는 염증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다.

 

2) 견봉 형태에 따른 문제 

-X-ray 상에서 견봉은 약 3가지 형태로 구분하며, 의학계에서는  형태에 따라 어깨충돌증후군에 노출되는 경향이 다르다는 것을 보고 하고 있다. 

-위 사진처럼 견봉의 형태에 따라서 어깨충돌증후군이 발생이 됩니다. 

저 3가지 중에 Type2가 가장 많이 어깨충돌증후군이 발생이 되며 Type3는 회전근개의  파열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구조적인 메커니즘 2/3

1) 후방 캡슐의 문제

후방 캡슐이란? 

->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으며 어깨의 움직임 수행을 더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윤활액을 분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후방의 캡슐이다.

 

후방캡슐이 경직될 때 상완 골두의 움직임

- 사체의 후방 캡슐의 경직을 유발시킨 후 관절 와 상완의 외전 테스트를 진행하였을 때,  

상관 골도의 전방 이동이 증가하였다.

 

-관절 와 상완의 굴곡시 상완골두의 전방-상방 이동이 증사 하였다.

 

-후방 캡슐의 경직으로 상완골두의 전방 또는 상방에서의 초과된 움직임은 견봉하공간의 감소를 유발합니다. 

그로 인해 견봉하압력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구조적인 메커니즘 3/4

1) 척추, 어깨 견갑골의 정렬적인 문제로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먼저 거북목의 형태입니다.

 

https://jwr0825.com/entry/%EA%B1%B0%EB%B6%81%EB%AA%A9%EC%9D%98-%EA%B5%AC%EC%A1%B0%EC%A0%81%EC%9D%B8-%EC%9B%90%EC%9D%B8%EA%B3%BC-%EC%A6%9D%EC%83%81

 

거북목의 구조적인 원인과 증상

현대인들의 가장 많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목입니다. 그중에 체형적으로 많이 변화가 일어나고 통증도 유발하게 되는 거북목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jwr0825/22288120

jwr0825.com

구부정한 자세는 흉추 굴곡 증사, 거북목, 라운드숄더로 정의가 되며 견갑골과 관절 와 상완의 운동형상을 변형시켜 비정상적인 견봉하공간의 변화를 일으키는 잠재적인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자세는 중/하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약화 및 소흉근과 상부승모근의 경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1 경추

-경추의 위치 및 가동성이 견갑골과 관절 와 상완관절(GH joint)의 운동형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경추의 굴곡의 증가

-어깨의 외전 및 굴곡 시 견갑골의 상방회전이 증사하고 후방경사는 감소하게 됩니다.

그리고 견갑골의 전인 및 거상까지 발생하여 견봉하공간이 작아지게 됩니다.

 

1-2 흉추

-흉추의 위치 및 가동성이 견갑흉곽과 관절 와 상완의 운동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흉추의 굴곡의 증가

-견갑골의 거상 및 전방경사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어깨의 외전 및 굴곡시 견갑골의 상방회전 및 후방경사가 감소가 됩니다.

 

1-3 견갑골

-어깨충돌증후군 환자는 견갑골의 중립자세가 변형이 되어 정상 어깨와 비교 시 견갑골의 증가된 전방경사 및 거상 견갑골 익상이 관찰이 됩니다.

-견갑골 익상이란? 

-> 견갑골의 내회전 및 전방경사가 발생으로 견봉하공간이 감소되어 어깨충돌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일반인에게 많이 나오는 중상이니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