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만'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28x90

뉴만2

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골격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의 관절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흉쇄관절 및 복장빗장관절 SC joint (sterno-clavicular joint) 일반적인 특징 1. 흉쇄관절, 복장빗장관절 및 SC joint는 어깨 복합체 중에 가장 몸 쪽에 있는 관절입니다. -빗장뼈/쇄골/clavicle의 안쪽 끝에서 부터, 복장뼈/흉골/sternum의 빗장관절면이 연결이 되고 추가적으로 첫째 늑골/갈비뼈/rip의 연골 위쪽 모서리로 수성된 복합 관절입니다. 2.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은 팔과 몸통의 뼈대를 연결하는 팔의 기초적인 관절로써 기능을 합니다. -복장뼈/흉골/sternum와 빗장뼈/쇄골/clavicle이 미세한 움직임이 팔과 몸통의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2023. 2. 24.
인체 해부학 어깨 뉴만(견갑골/어깨뼈) 우리가 해부학, 인체해부학을 공부할 때에 가장 어려운 책 뉴만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오늘부터 이 책에 대해서 공부를 할 것입니다. 기존 해부학보다 더 깊게 들어가니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따라오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오늘은 어깨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어깨(shoulder) 어깨의 경우는 1개의 뼈가 아닌 5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어깨복합체라고 부릅니다. 흉골/복장뼈(sternum), 쇄골/빗장뼈(clavicle), 견갑골/어깨뼈(scapula), 늑골/갈비뼈(rip) 상완골/위팔뼈(humerals)가 어깨를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복합체의 움직임은 하나의 근육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협동적인 특징이 존재합니다. 능동적인 움직임의 범위 조절, 다양성의 증가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2023. 2.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