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28x90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13

뉴만 기능해부학 어깨가슴관절, 견갑흉골관절 ST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 A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7%8C-%EB%B4%89%EC%9A%B0%EB%A6%AC%EB%B9%97%EC%9E%A5%EA%B4%80%EC%A0%88%EA%B2%AC%EC%87%84%EA%B4%80%EC%A0%88-AC-joint 인체해부학/뉴만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S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tistory.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 2023. 3. 16.
인체해부학/뉴만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S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tistory.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7%8C-%EB%B3%B5%EC%9E%A5%EB%B9%97%EC%9E%A5%EA%B4%80%EC%A0%88-%ED%9D%89%EC%87%84%EA%B4%80%EC%A0%88-SC-joint 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골격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의 관절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흉쇄관절 및 복장빗장관절 SC joint (sterno-clavicular joint) 일반적인 특징 1. 흉쇄관절, 복장빗 jwr.. 2023. 3. 13.
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골격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의 관절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흉쇄관절 및 복장빗장관절 SC joint (sterno-clavicular joint) 일반적인 특징 1. 흉쇄관절, 복장빗장관절 및 SC joint는 어깨 복합체 중에 가장 몸 쪽에 있는 관절입니다. -빗장뼈/쇄골/clavicle의 안쪽 끝에서 부터, 복장뼈/흉골/sternum의 빗장관절면이 연결이 되고 추가적으로 첫째 늑골/갈비뼈/rip의 연골 위쪽 모서리로 수성된 복합 관절입니다. 2.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은 팔과 몸통의 뼈대를 연결하는 팔의 기초적인 관절로써 기능을 합니다. -복장뼈/흉골/sternum와 빗장뼈/쇄골/clavicle이 미세한 움직임이 팔과 몸통의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2023. 2. 24.
인체 해부학 어깨 뉴만(견갑골/어깨뼈) 우리가 해부학, 인체해부학을 공부할 때에 가장 어려운 책 뉴만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오늘부터 이 책에 대해서 공부를 할 것입니다. 기존 해부학보다 더 깊게 들어가니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따라오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오늘은 어깨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어깨(shoulder) 어깨의 경우는 1개의 뼈가 아닌 5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어깨복합체라고 부릅니다. 흉골/복장뼈(sternum), 쇄골/빗장뼈(clavicle), 견갑골/어깨뼈(scapula), 늑골/갈비뼈(rip) 상완골/위팔뼈(humerals)가 어깨를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복합체의 움직임은 하나의 근육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협동적인 특징이 존재합니다. 능동적인 움직임의 범위 조절, 다양성의 증가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2023. 2. 15.
골반(pelvis) 인체 해부학 스터디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상완골/팔(humeral)의 골격 해부학에 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골반(pelvis)에 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골반(pelvis)은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는 관절입니다. 명칭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A 장골 A위치가 엉덩뼈 오목의 위치입니다. -> 엉덩근이 부착이 되어있는 위치입니다. 1. 장골능/엉덩뼈능선 (iliac crest) -> 상체 근육까지 부착이 되는데, 광배근/넓은등근(latissimus dorsi)이 부착이 됩니다. 2. 상(후)둔선/앞(뒤) 볼기근선 (Superior Gluteal line) 3.(전) 중 둔 선/(앞)중 볼기근선 (Middle Gluteal line) 4. 하둔선/하래볼기근선 (inferior gluteal line) ->.. 2023. 2. 7.
상완골/팔(humurals) 인체 해부학 스터디 저번시간에 알려드린 견갑골/어깨뼈(scpula)에 대해 공부해보셨나요 오늘은 팔에 대한 뼈를 공부해볼 시간입니다! 팔에는 상완골과 전완에 속하는 요골과 좌뼈가 존재합니다. 1. 상완골두/위팔뼈머리(humerals head) - 어깨 관절 중에 GH joint를 이루는 관절입니다. 2. 해부경/해부목(anatomicl neck) 3. 외과경/외과목(surgical neck) 4. 대결절/큰결절(greater tubercle) - 회전근개 중 3가지가 붙는 곳입니다.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그래서 어깨의 외회전을 하게 합니다. 5. 소결절/작은결절(lesser tubercle) -회전근개 중 1가지 붙는 곳입니다. (견갑하와) 그래서 어깨의 내회전을 하게 합니다. 6. 이두근구/위팔두갤래근고랑 (bic.. 2023. 2.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