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해부학/뉴만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
본문 바로가기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뉴만 기능해부학

인체해부학/뉴만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

by 우라아미님 2023. 3. 1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S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tistory.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7%8C-%EB%B3%B5%EC%9E%A5%EB%B9%97%EC%9E%A5%EA%B4%80%EC%A0%88-%ED%9D%89%EC%87%84%EA%B4%80%EC%A0%88-SC-joint

 

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골격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의 관절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흉쇄관절 및 복장빗장관절 SC joint (sterno-clavicular joint) 일반적인 특징 1. 흉쇄관절, 복장빗

jwr0825.com

 

오늘은 2번째 관절인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잘,AC joint에 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봉우리빗장관절, 견쇄관절, AC jont(acromioclavicular jont)

일반적인 특징

 

 

1.쇄골/빗장뼈의 가쪽 끝에서 견갑골/어깨뼈의 봉우리/견봉 사이의 관절입니다.

-봉우리에 있는 빗장관절면은 안쪽과 약간 위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쇄골에 있는 봉우리관절면에 잘 맞도록 부착 지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AC jont는 관절원반이 있으며 , 그 형태가 다양합니다.(이 말은 모든 사람의 모양이 같지 않습니다.)

 

2. AC joint는 미끄러짐, 평면관절로 자주 설명을 합니다. 

이유는 관절면들의 외형이 주로 편평하다는 것이 반영된 것입니다. 그러니 아까 이야기했듯 편평한 것에서부터 약간 오목이나 볼록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한 가지 부가설명을 하면 관절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구르기와 미끄러짐의 관절운동형상학은 여기에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관절주위 결합조직

1.AC jont는 위와 아래관절주머니 인대에 직접적으로 보강된 관절주머니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림에 동그라미 표시된 곳이 AC joint의 위치입니다. 그 위치에는 관절주머니 인대들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위관절주머니 인대는 봉우리빗장인대, 견봉쇄골인대를 뜻합니다. 그리고 등세모근/승모근, 어깨세모근/삼각근이 부착을 하고 인대를 보강해 줍니다.

 

2.부리빗장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는 AC jont에 대한 중요한 외인성 안정자/ 안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마름인대와 원뿔인대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마름인대(trapezoid ligament)는 부리돌기/오훼돌기/coracoidpress의 위면에서부터 쇄골에 있는 마름인대선까지 뻗어 있는 인대입니다.

-원뿔인대(conoid ligament)는 부리돌기의 몸 쪽 바닥부터에서부터 쇄골에 있는 원뿔인대결절까지 세로로 뻗어 있는 인대입니다.

-마른 인대와 원뿔인대는 길이, 가로단면적, 뻣뻣함, 그리고 장력에 있어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부리빗장인대는 다른 인대보다 좀 더 강하며 파열지점에서의 에너지를 더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과 거의 세로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특성은 쇄골뼈에 대해서 견갑골, 팔을 지탱시키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용합니다.

 

3.AC joint의 관절면에는 섬유연골층이 붙어 있으며, 완전 또는 불안완전한 관절원반에 의해 관절면은 분리가 됩니다.

-AC joint를 10% 절개를 하여서 완전한 관절원반이 있다는 것을 밝혀졌습니다.

-대부분의 관절들이 불완전한 관절원반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서지거나 마모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불완전한 관절원반은 구조적으로 이상이 아니라 관절원반의 종종 일어나는 퇴행의 징후 일 뿐입니다.

 

운동형상학

 

1.SC joint와 AC joint의 기능에는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SC joint는 광범위한 쇄골의 운동을 허용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견갑골의 일반적인 운동경로를 인도하게 됩니다.

-AC joint는 견갑골과 쇄골의 가쪽 끝 사이의 미세한 움직임들을 허용하게 됩니다. 

또한 견갑골과 가슴사이의 가동성과 적합성을 최적화시켜줍니다. 즉 안정성을 만들어 줍니다.

 

SC joint와 AC joint는 대조적인 움직임이 보입니다.

 

-AC joint가 쇄골의 가쪽 끝에 대한 견갑골의 움직임을 설명할 때에 어깨뼈의 운동들은 3도의 자유도로 언급이 됩니다.

   -> 견갑골의 상방회전(upward rotation), 견갑골의 하방회전(downward rotation)이 일자적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 그 이후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돌린 성 조절 운동을 통해 견갑골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율하여 줍니다.

-AC joint는 독립된 운동들에 대한 가동범위는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상방회전/위쪽돌림/upward rotation, 하방회전/아래쪽돌림/downward rotation

-AC joint 상방회전은 견갑골이 위쪽과 바깥쪽으로 스윙하는 것을 뜻합니다.

-어깨가 외전 또는 굴곡을 수행할 때 자연스러운 성분으로 일어난다( 외전 또는 굴곡이 상방회전과 같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팔을 머리 위로 완전히 들어 올릴 때 AC joint에서 상방회전의 각도가 30도까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된다.

 

-AC joint의 하방회전은 상방회전으로 갔던 동작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돌림성 조절운동

-AC joint의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 쇄골 가쪽 끝에서 견갑골의 작은 축돌림이나 비틀림의 유형으로 운동들이 나타납니다.

-돌림성 조절운동은 가슴에 대해 견갑골의 적절한 정렬을 시켜줍니다. 

-위에 설명한 대로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견갑골과 쇄골 사이에서 일어나는 비교적 작은 움직임을 식별하고 측정하기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어깨의 외전과 굴곡하는 동안 운동들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각 운동면마다 5~30도의 범위의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견갑골이 가슴 만곡에 맞춰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가슴을 이탈하게 될 것이다. 

수평면에서의 돌림성 조절운동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견갑골의 액와연이 가슴 뒤면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지 워는 축돌림을 할 때 일어나게 됩니다.

-수평면에서 돌림 조절운동은 내회전, 외회전으로 설명이 됩니다. (그림 참고 5-19 A)

시상면에서의 돌림성 조절운동

-안. 가쪽축을 중심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견갑골의 하각이 가슴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축돌림을 할 때 나타납니다.

-시상면에서 돌림 조절운동은 앞 기울임과 뒤 기울임으로 설명이 됩니다.

 

뉴만 AC joint의 정리가 끝났습니다. 

뉴만은 사진과 글을 같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해하기가 어려워지거든요.. 

그래서 사진과 글을 잘 정리해두었으니 모두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