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해부학 어깨 뉴만(견갑골/어깨뼈)
본문 바로가기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뉴만 기능해부학

인체 해부학 어깨 뉴만(견갑골/어깨뼈)

by 우라아미님 2023. 2. 15.
728x90
반응형

 

우리가 해부학, 인체해부학을 공부할 때에 가장 어려운 책 뉴만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오늘부터 이 책에 대해서 공부를 할 것입니다. 기존 해부학보다 더 깊게 들어가니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따라오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오늘은 어깨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어깨(shoulder)

어깨의 경우는 1개의 뼈가 아닌 5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어깨복합체라고 부릅니다.

흉골/복장뼈(sternum), 쇄골/빗장뼈(clavicle), 견갑골/어깨뼈(scapula), 늑골/갈비뼈(rip) 상완골/위팔뼈(humerals)가 어깨를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복합체의 움직임은 하나의 근육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협동적인 특징이 존재합니다. 능동적인 움직임의 범위 조절, 다양성의 증가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근육이 마비나 약화가 된다면 어깨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운동형상학적은 특징이 전체적으로 연속성을 방해하게 됩니다.

근육의 밸런스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뼈, 관절입니다. 이제 하나씩 뼈를 알아보겠습니다.

흉골/복장뼈(sternum)

흉골/복장뼈는 복장벼자루(manubrium), 복장뼈몸통(sternum bady), 칼돌기(Xiphoid process)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이중 복장뼈자루는 몇 가지 특징이 존재합니다.

1. 쇄골의 빗장관절면(Clavicular facet)과 관절을 이루고 있습니다. 

2. 갈비뼈 관절면(costal facet)과 연결되어 첫 번째 갈비뼈와 두 번째 갈비뼈를 이어주고 있습니다.

3. 목아래 파임(jugular notch)은 복장뼈자루(manubrium)의 위면에 위치되어 목과 연결시켜 줍니다.

 

쇄골/빗장뼈(clavicle)

쇄골/빗장뼈(clavicle)의 몸통(shaft)은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볼록하고 가쪽으로 오목한 만곡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이마면에서 봤을 때에, 약 20도 정도 뒤쪽으로 향하고 있다(위 우측 그림 참고)

2.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쇄골의 빗장관절면(clavicular facet)과 복장뼈자루(manubrium)와 관절한다. 

3. 밑에 쇄골 우측 끝에 위치한 갈비관절면(costal facet)은 첫째 갈비뼈에 얹혀 있다. 

4. 갈비 거친 면(costal tuberosity)은 갈비빗장인대(costoclavicular ligament)가 부착한다.

5. 쇄골 가쪽 끝, 봉우리 끝(acromial end)은 견갑골/어깨뼈(scapula)의 봉우리관절면(acromial facet)과 관절한다.

6. 쇄골 가쪽 끝 아래면에는 원뿔인대결절(conoid tubercle)과 마름인대선(trapezoid line)이 있다.

 

쇄골에는 2개의 관절이 존재하는 것이다.

 

견갑골/어깨뼈(scapula)

 

1. 3개의 각이 존재한다 

-> 상각/위각(superior angle) 하각/아래각(inferior angle) 외각/가쪽각Larteral angle)

2. 2개의 모서리가 존재한다.

-> 척추연/척추모서리(vertebral border) 척주에 거의 평행하게 놓여있다.

액와연/겨드랑이모서리(axillary border) 견갑골/어깨뼈의 아래각에서부터 가쪽각까지 뻗어 있다.

위모서리(superior border) 위각에서부터 가쪽으로 부리돌기까지 뻗어있다.

3. 견갑골/어깨뼈(scapula) 뒷면에 돌출된 어깨뼈가시(spine)에 의해

극상 와/가시위오목(supraspinatous fossa), 극하와/가시아래오목(infraspinatus)이 있다.

(5-16)

4. 견봉/봉우리(acromion)에 있는 빗장관절면(clavicular facet)은 견쇄관절/봉우리빗장관절의 일부를 형성한다.

(5-5)

5. 관절 와/관절오목(glenoid fossa)에서 상완골머리/위팔뼈머리(humeral head)와 관절한다.

 

6. 관절오목의 경사도는 견갑골/어깨뼈(scapula)의 몸통을 통과하는 가로축에 4도 정도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 경사도 7도의 아래쪽 경사도에서 부터 거의 16도의 위쪽 경사도까지 다양한 범위를 보인다.

 

7. 안정적인 상태에서는 견갑골/어깨뼈(scapula)는 가슴 뒤쪽-가쪽면에 위치하는데, 이때 관절 와/관절오목(glenoid fossa)은 이마면에서 35도 정도 앞쪽으로 향하고 있다. 

-> 견갑골 내회전시 탈구가 일어난다. 35도의 각도의 면을 어깨면이라 부른다.

 

8.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견갑골/어깨뼈(scapula)와 상완골/위팔뼈(humerals)는 이러한 어깨면에 따라 움직임이 수행된다.

9. 관절 와/관절오목(glenoid fossa) 위쪽의 결절을 오목 위결절(supra glenoid) 아래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결절을 오목아래결절(infraglenoid fossa)라 한다.

10. 오훼돌기/부리돌기(coracoid process)에 많은 인대들이 부착한다.

 

이렇게 기능해부학 뉴만의 견갑골/어깨뼈(scapula)에 대한 설명입니다! 

다음시간에는 상완골/위팔뼈(humeral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