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만 기능해부학 어깨가슴관절, 견갑흉골관절 ST joint
본문 바로가기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뉴만 기능해부학

뉴만 기능해부학 어깨가슴관절, 견갑흉골관절 ST joint

by 우라아미님 2023. 3. 1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 A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7%8C-%EB%B4%89%EC%9A%B0%EB%A6%AC%EB%B9%97%EC%9E%A5%EA%B4%80%EC%A0%88%EA%B2%AC%EC%87%84%EA%B4%80%EC%A0%88-AC-joint

 

인체해부학/뉴만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SC joint에 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https://jwr0825.tistory.com/entry/%EC%9D%B8%EC%B2%B4%ED%95%B4%EB%B6%80%ED%95%99-%EB%89%B4%EB%A7%8C-%EB%B3%B5%EC%9E%A5%EB%B9%97%EC%9E%A5%EA%B4%80%EC%A0%88-%ED%9D%89%EC%87%84%E

jwr0825.com

위 링크를 보시면 참고하실 수 있어요!

 

오늘은 3번째 관절인 어깨가슴관절/견갑흉골관절/ST joint에 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어깨가슴관절, 견흉관절, ST joint(scapulothoracic joint)

 

일반적인 특징

1.ST joint는 진짜 관절보다는 가짜관절로 많이 불리는 관절입니다. 

-> 견갑골의 앞면곽 가슴의 뒤-가쪽벽 사이의 접촉부위라 말할 수 있는 부분에 있습니다

인대 및 건들이 존재 사지 않고, 근육 만으로 이어져 있는 곳입니다. (견갑하근, 전거근, 척추기립근이 존재합니다.)

 

https://blog.naver.com/jwr0825/222632988956

 

(과천PT/멧피트니스) 전거근(serratus anterior) 기시 정지 그리고 작용

우리가 몸을 멋지게 만들게 되면, 갈비뼈 늑골 쪽에 톱니 모양으로 나오는 근육이 있을 겁니다! 위에 사진...

blog.naver.com

 

2. 이러한 근육들이 제공이 되는 촉촉한 표면은 움직임을 만드는 동안 관절 내에서의 전달력을 감소시켜 줍니다.

즉 과한 움직임을 나타나게 막아 줍니다.

 

5-4

 

3.해부학적인 위치에서 보면 견갑골은 2번 갈비뼈와 7번 갈비뼈 사이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견갑골 척추연과 척추 사이의 거리는 약 6cm입니다. 견갑골의 안정적인 위치는 약 10도의 앞쪽 기울임과 5~10도 상방회전된 

위치입니다. 또한 어깨면과 일치한 위치인 약 35도의 내회전된 상태입니다.

 

4. 어깨의 운동학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어깨의 넓은 가동범위는 ST joint의 큰 움직임 때문입니다.

운동형상학

 

1.ST joint의 움직임은 SC joint와 AC joint의 협동의 결과입니다.

-만약 SC joint와 AC joint중 한 관절이라고 제한이 온다면 ST joint, 견갑골의 움직임에 제한이 오게 됩니다.

거상/올림과 하강/내림

 

1.거상/올림은 SC joint와 AC joint에서 일어나는 회전운동의 합성으로 일어난다.

어깨가 으쓱 하는 동작에서 SC joint의 쇄골의 거상에 의한 견갑골의 거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2.AC joint 에서 견갑골의 하방회전은 견갑골의 거상 동안 거의 세로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3.AC joint에서 부가적인 조절운동은 견갑골의 가슴의 만곡에 맞춰서 위치되도록 도와준다. 

견갑골의 하강은 거상과 반대 동작으로 일어난다.

전인/내밈과 후인/뒤 당김

1. 견갑골의 전인/내밈은 SC joint와 AC joint에서 수평면 돌림운동의 총합으로 일어난다.

 

2.SC joint견갑골의 전인하고 있는 쇄골의 일반적인 경로를 따른다.

 

3.AC joint은 다양한 양의 내회전의 기여를 통해 ST joint 전인의 전체 양을 확대시키거나 보충 또는 조절할 수 있다.

 

4. ST joint의 전인은 SC joint와 AC joint의 합성 운동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한 관절에서의 운동 감소는 다른 관절에서의 운동 증가를 통해 부분적으로 보상이 됩니다.

 

견갑골의 후인은 전인의 역동작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상방회전/위쪽돌림과 하방회전/아래쪽돌림

 

1.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움직임입니다.

만약 상방회전이 되지 않는다면,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동작은 불가능합니다.

 

2. 상방회전의 동작은 상완골두를 지지하고 관절 와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위치로 배치시켜 줍니다.

즉 상방회전을 할 때에 ST joint는 안정화를 담당하게 됩니다.

 

3. 견갑골의 완전한 상방회전은 SC joint에서 쇄골의 올림과 AC joint에서의 견갑골 상방회전의 총합으로 일어난다.

 

4. 어깨의 완전한 돌림운동은 ST joint에서 완전한 60도 상방회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5. 팔을 외전 및 벌림 운동 시에는 이마면에서 상방회전을 수행한다.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시에는 어깨면에 근접한 경로에서 상방회전을 수행합니다.

-> AC joint와 SC joint는 팔의 들어올리는 동안 수많은 경로에서 견갑골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많은 가동성이 만들어 냅니다.

 

 

여기까지 ST joint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ST joint는 움직임을 만들어 주는 것보다는 안정성에 좀 더 중점을 둔 관절입니다.

 

그리고 인대로 연결이 되어있지 않고 건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관절로 

 

가짜 관절로 연결이 되어 있는 관절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알고 운동 및 공부하시면 좀 더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