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본문 바로가기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골격 해부학

인체해부학 뉴만/ 복장빗장관절, 흉쇄관절 SC joint

by 우라아미님 2023. 2. 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골격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의 관절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흉쇄관절 및 복장빗장관절 SC joint (sterno-clavicular joint)

일반적인 특징

 

1. 흉쇄관절, 복장빗장관절 및 SC joint는 어깨 복합체 중에 가장 몸 쪽에 있는 관절입니다.

-빗장뼈/쇄골/clavicle의 안쪽 끝에서 부터, 복장뼈/흉골/sternum의 빗장관절면이 연결이 되고 추가적으로 첫째 늑골/갈비뼈/rip의 연골 위쪽 모서리로 수성된 복합 관절입니다.

 

2.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은 팔과 몸통의 뼈대를 연결하는 팔의 기초적인 관절로써 기능을 합니다.

-복장뼈/흉골/sternum와 빗장뼈/쇄골/clavicle이 미세한 움직임이 팔과 몸통의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3. 2번의 이유로 견고하게 부착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큰 움직임은 없습니다.

 

4. -빗장뼈/쇄골/clavicle의 안쪽 끝은 세로 지름이 볼록하고 가로지름이 오목하다.

-복장뼈/흉골/sternum의 끝은 세로 지름이 오목하고 가로지름이 볼록하다. 

쇄골과 흉골이 상반되기 때문에 완전 밀착이 되어 안정적인 면이 될 수 있다.

관절주위 결합조직

관절 주위에 결합조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앞복장빗장인대/전흉골쇄골인대/an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와 뒤복장인대/후흉골쇄골인대/pos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에 보강된 관절주머니에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이 둘러싸여 있습니다.

 

2.SC 관절은 활동할 때에 근육에 의해서 더 안정적이게 됩니다. 

앞쪽은 목빗근/흉쇄유돌근/S.C.M, 뒤쪽은 복장방패근/sternothyroid 복장목뿔근/sternohyoid 그리고 아래쪽은 빗장밑근/쇄골하근/subclavius에 의해서 안정성을 제공받는다.

 

3.목아래패인(juglar notch)에 걸쳐있는 빗장사이인대(inter clavicular ligament)는 오른쪽의 빗장뼈/쇄골과 왼쪽 빗장뼈/쇄골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갈비빗장인대(costoclavicular ligament)는 첫째 갈비뼈의 연골부터 빗장뼈/쇄골의 아래면에 있는 갈비거친면까지 뻗어있는 강력한 구조물입니다.

5. 앞다발의 섬유는 위쪽과 가쪽 방향으로 주행, 뒤다발 섬유는 위쪽과 안쪽으로 주행한다.

 

6.빗장뼈/쇄골/clavicle의 아래쪽 움직임을 제외한 모든 운동에 대해서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5-11 

7.관절원반(articular disc)은 안쪽 공간과 가쪽곤간을 분리시킨다.

 

8. 바깥쪽 가장자리는 관절 주머니의 속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아래쪽은 빗장관절면의 가쪽 가장자리에 부착이 되고

위쪽은 빗장뼈의 복장 끝과 빗장사이인대에 부착된다.

 

9. 관절 접촉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충격흡수자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10. 빗장뼈의 주어진 큰 힘은 SC jonit가 탈구되기 전에 빗장뼈몸통의 골절을 흔히 유발한다. 

 

운동형상학

SC joint의 경우는 3도의 자유로 모두 돌림운동이 가능하다. 모든 운동이 가능하지만 3개의 기본적인 명 시상면, 이마면, 수평면과의 운동면에서 운동을 실시한다.

 

 

빗장뼈/쇄골/calvicle)의 경우는 올림과 내림, 내밈과 뒤 당김, 뼈의 긴축에 대한 돌림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일차적인 목적은 상완골두/위팔뼈머리/humeral head가 적절한 위치로 건갑골/어깨뼈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나중에 배울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의 모든 기능적인 움직임은 SC 관절에 대한 쇄골에서의 어떤 움직임과 동반됩니다. 

 

거상/올림과 하강/내림

쇄골의 거상과 하강, 앞-뒤쪽 돌림축(회전)은 이마면에 거의 평행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거의 45도의 최대 올림과 10도의 최대 내림을 보고되고 있습니다. 아까 이야기 한대로 쇄골의 올림과 내림은 유사한 경로로 견갑골/어깨뼈의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쇄골의 거상은 볼록한 쇄골의 관절면이 오목한 흉골의 관절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구르는 것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서 갈비빗장인대는 쇄골의 거상 된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움직임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쇄골의 하강은 볼록한 관절면의 아래쪽으로 구르기와 위쪽으로 미끄러짐의 작용으로 올림과 반대로 일어나게 됩니다. 

완전히 내림된 쇄골의 빗장사이인대와 관절주머니인대의 위쪽 부분을 신장시킵니다.

 

전인/내밈과 뒤당김/후인

쇄골의 전인/내밈과 후인/뒤당김은 수직 돌림축에 대해서 수평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운동 범위는 각각 최대 15~30도 정도 일어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수평면에서의 쇄골의 운동은 어깨뼈에서의 내밈 및 뒤당김과 강력한 관계가 있습니다. 즉 쇄골과 견갑골이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쇄골의 전인과 뒤당김 운동에 대해서 SC jont관절의 가로 지름을 따라서 일어나게 됩니다.

 

뒤당김은 쇄골의 오목관절면/관절와이 흉골의 볼록 관절면에 대해 뒤쪽으로 구르고 미끄러짐을 할 때 일어난다. 뒤당김의 끝범위에서는 갈비빗장인대의 앞쪽 다발과 앞관절주머니인대는 신장된다.

 

SC jont의 내밈은 뒤당짐의 관절운동형상학과 같은 형식으로 일어난다.

갈비빗장인대의 뒤다발, 뒤관절주머니인대, 어깨뼈의 후인 근육들에서 과도한 타이트함은 최대의 쇄골 내밈을 제한한다.

 

쇄골의 회전/축돌림

어깨가 외전/벌림과 굴곡/굽힘이 일어날 때 쇄골의 위면에 있는 한 지점은 뒤쪽으로 20~35도 돌림 한다.

올라가 있던  팔이 몸통 옆으로 다시 돌아옴에 따라 쇄골의 원래의 위치로 돌림 하여 돌아간다. 

 

쇄골의 회전/축돌림은 어깨의 외전/벌림과 굴곡/굽힘의 운동형상학과 연계가 되어 있으며, 팔의 안정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없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