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의 형태(femur,넙다리뼈)-2
본문 바로가기
우라아미의 해부학 시간/골격 해부학

대퇴골의 형태(femur,넙다리뼈)-2

by 우라아미님 2021. 11. 8.
728x90
반응형

저번에 공부하신 것을 반복 학습을 하셔서 좀 더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ㅎㅎ

 

오늘은 몸쪽의 넙다리뼈(femu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몸 쪽의 넙다리뼈(femur)는 골화 중심으로 차별적인 성장, 근육 활성, 체중을 지지, 혈액 순환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비정상적인 발달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경우는 거의 선천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외상 후 후천적인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도 몸 쪽 넙다리뼈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몸 쪽 넙다리뼈(femur)의 형태 외형에 관절의 스트레스가 부과가 되고, 관절의 적합성, 안정성이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경사각의 비스듬한 정도 에 따라 femur의 외형이 정의되기도 합니다.

경사각의 각도

여기서 경사각이란! 

넙다리뼈의 목(Femur neck), 넙다리뼈의 몸통(femur shart)의 관상면, 이마면(frontal plane)의 각도를 말합니다.

만약 경사각이 125도 보다 작게 되면 coxa vara라고 말하고 

만약 경사각이 125도 보다 크게 되면 coxa valga라고 말하게 됩니다.

각도에 따라서 절구(acetabulum)과 넙다리의 목(femoral neck)의 정렬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이는 대퇴골(femur)의 탈구, 스트레스로 인한 퇴행 발생 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탈구는 어린 아이들에게서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넙다리뼈의 비틀림(femoral torsion)

넙다리뼈의 비틀림(femoral torsion)은 넙다리뼈의 몸통(femoral shart)과 넙다리뼈의 목(femoral neck)의 비틀림 상태적 틀림을 이야기합니다.

정상적인 앞굽 은은 넙다리뼈의 목(femoral neck)이 넙다리뼈 관절 융기(femoral condyle)를 통과하여 안. 뒤축에 15도 정도 앞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만약 15도 이상은 과도한 앞굽음(excesive anteversion) 15도 이하 뒷굽음(retrovesion)이라고 한다.

 

일반적 적당한 유아는 40도의 앞굽음(excesive anteversion)으로 태어난다.

->뼈의 성장, 증가된 체중지지, 근육 활동으로 16세에 40도->15도로 감소하게 되는데,

성인이 돼서 까지 압굽음(excesive anterversion)은 

-엉덩관절, (골반, Pelvis)의 탈구, 관절의 불일치, 증가된 관절 접촉의 힘, 그리고 관절연골에 대한 증가된 마모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소로 인해 2차적인 뼈 관절염이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이의 압굽음(excesive anteversion)은 안장 걸음과 관련이 있는데, 안짱다리(ankle interal rotation)는 엉덩관절(골반, pelvis)의 정렬을 하기 위한 보상작용이기 때문이다.

 

넙다리뼈의 비틀림(femoral torsion)에 엉덩관절(골반, pelvis)의 외전(abductor)의 지레 작용으로 내회전(interal rotation) 근육이 짧아지게 되고, 외회전(exteral rotation)의 ROM이 감소한다. 하지만 걷는 것은 정상적으로 걷음 걸이가 된다. 그 이유는 보상작용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중에 exteral rotation의 각도가 24도~45도 라면 뇌성마비를 가진 사람으로 분류한다 

심하게는 60도~80도까지도 나타나게 된다.

안쪽으로 향한 발가락은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일반적이며 해결되지 않는다.

 

대퇴골(femur, 넙다리뼈)의 사진 출처 뉴만

몸 쪽의 넙다리뼈(대퇴골, femur)의 속구 조에 대해서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보행 시에 넙다리뼈, 대퇴골(femur)의 장력, 압박, 굽힘,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자신의 체중을 초과하게 됩니다.

뼈의 종류로는 치밀 뼈, 갯솜 뼈로 나누게 되는데,

 

치밀 뼈(compact bone)

-매우 조밀하고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큰 부화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넙다리뼈 목(대퇴골 목, femoral neck)과 넙다리뼈 몸통(대퇴골 몸통, femural shart)의 겉질이나 바깥쪽 껍질에서 특히 두껍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큰 전달력을 지니고 있으며, 비틀림의 힘을 받는 곳입니다.

 

갯솜 뼈(cancel lous bone)

-비교적으로 구멍이 많은 뼈입니다.

-3차원적으로 뼈기둥의 격자(trabecular lattice)인 갯솜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스트레스선을 따라 집결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뼈 기둥의 그물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femur에서 안쪽 뼈기둥 그물구조(medial trabecular) 활꽃 뼈기둥 그물구조(arcuate trabecular network)를 볼 수 있다.

장시간 femur의 비정상적인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면, 뼈기둥 그물구조의 전방적 양상이 변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