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칭'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28x90

스트레칭5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운동 및 스트레칭 방법 현대사회의 변화, 핸드폰과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사용으로 인해 빠질 수 없는 통증 중력으로, 척추가 있기 때문에 빠질 수 없는 통증 바로 목 통증입니다. 목 통증으로 인해 머리 뇌, 그리고 온몸에 신경까지 연결이 되는 중요한 곳이기도 하고, 목에 대한 통증이 생기게 되면, 그날 하루에 많은 지장이 가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곳에서 목에 대한 통증과 많은 연관이 있는 곳인 견갑거근! 에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견갑거근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찾아보세요! https://jwr0825.tistory.com/entry/%EA%B2%AC%EA%B0%91%EA%B1%B0%EA%B7%BCLevator-Scapula-%EC%82%AC%EC%9A%A9-%EC%84%A4%EB%AA%85%EC%84%9C .. 2021. 2. 7.
추석 연휴 건강하게 보내기!! 곧! 내일이면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부모님 댁 혹은 시골에 내려가는 것을 권고하지 않기도 하고 코로나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에서도 부모님께는 영상통화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집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추석 연휴를 어떻게 보내야 하나 걱정이 많은데요, 이때에 그동안 지치고 힘들었던 몸을 회복하는 것에 중점을 맞추는 것이 어떨까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의 지치고 힘든 몸을 다시 원활한 생체 리듬과 회복을 하는 법! 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생체리듬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우리 몸에는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생채 리듬이 존재합니다. 이 생채 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있는데, 멜라토닌과 코티손입니다. 이 호르몬이 몸의 생채리듬을 조절하고 수면과 휴식을 유도 그리고 낮에 활동력을.. 2020. 9. 29.
대흉근 사용 설명서~! 오늘은 남자들의 로망이죠 가슴 근육! 대흉근(pectoralis maj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흉근은 가슴 근육으로 앞쪽 상체에서의 가장 큰 근육입니다. 헬스클럽에 가면 흔히 남성들이 많이 하는 운동이기도 하고 일명 갑빠라고 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가슴운동을 남자들이 많이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성들은 왜 하지 않을까요?? 그것은 남자와 여자의 추구하는 라인, 체형이 틀리기 때문입니다. 남자들은 근육질한 몸매 잔근육이 많은 몸매 등을 원하지만 여성들은 S라인의 몸을 추구합니다. 다 그런건 아니겠지만요 그래서 남자들은 벨런스를 추구하고 닥부러진 어깨와 가슴근육 어깨근육 등을 많이 하고 여성들은 가슴운동을 하면 바스트가 작아질것을 우려하여 가슴이 근육으로 될것을 우려하여 많이 하지 않게 됩니.. 2020. 8. 22.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사용 설명서~! 목에는 많은 근육들이 존재합니다. 몸에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근육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목의 근육은 움직임을 만들고, 빠른 움직임 과도한 움직임에 사용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목이 빠른 움직임 과한 움직임을 만들게 되면 통증과 목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 자세로 오래 유지하게 되면 그것 또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 예로 빠른 움직임과 과한 움직임은 교통사고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만약 후방에서 100km로 달려오는 차가 내 차의 후면을 밖는 다면!? 처음 움직이는 곳은 어디일까요?? 교통사고 후 가장 많은 후유증인 목 입니다. 후방에서 충격을 받게 되면 목이 뒤로 젖히게 되는데 이때 많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움직이지 않고 한 동작으로 오래 유지하는 것은 .. 2020. 7. 3.
대원근, 소원근 사용 설명서~! 오늘의 설명 드릴 근육은 대원근(teres major) 소원근(teres minor)입니다. 대원근(teres major)과 소원근(teres minor)은 작은 근육입니다. 작은 근욱이긴 하지만 꼭 필요한 근육입니다. 대원근(teres major)은 저번에 소개 드리든 광배근(latissmus dorsi)와 근육의 결이나, 하는 작용이 똑같은습니다. 그래서 광배근(latissmus dorsi) 밑에 덮어 있니 때문에, 광배근(latissmus dorsi) 보조역활을 하면서 안정성 역활도 같이 하게 됩니다. 대원근(teres major)에 문제가 생겨 보조역활을 못하게 되고, 안정성이 떨어 지게 되면 elbow의 통증이 올 수도 있고 심하면 어깨에 대한 통증 까지 올 수 있습니다. 소원근(teres mi.. 2020. 6.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