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거근(levator scapula) 운동 및 스트레칭 방법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운동 및 스트레칭 방법

by 우라아미님 2021. 2. 7.
728x90
반응형

현대사회의 변화, 핸드폰과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사용으로 인해 빠질 수 없는 통증 

중력으로, 척추가 있기 때문에 빠질 수 없는 통증 

바로 목 통증입니다.

 

목 통증으로 인해 머리 뇌, 그리고 온몸에 신경까지 연결이 되는 중요한 곳이기도 하고, 

목에 대한 통증이 생기게 되면, 그날 하루에 많은 지장이 가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곳에서 목에 대한 통증과 많은 연관이 있는 곳인 견갑거근! 에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견갑거근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찾아보세요!
https://jwr0825.tistory.com/entry/%EA%B2%AC%EA%B0%91%EA%B1%B0%EA%B7%BCLevator-Scapula-%EC%82%AC%EC%9A%A9-%EC%84%A4%EB%AA%85%EC%84%9C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사용 설명서~!

목에는 많은 근육들이 존재합니다. 몸에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근육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목의 근육은 움직임을 만들고, 빠른 움직임 과도한 움직임에 사용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아닙니

jwr0825.tistory.com

오늘 제목에 견갑거근에 운동뿐만 아니라, 스트레칭! 까지 넣은 이유는 
견갑거근은 수축을 많이 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경직이 많이 되고, 짧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트레칭이 필요한 근육입니다.

 

먼저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릴게요!

 

견갑거근은 일단 견갑골와 경추에 붙어 있어서 승모근에 운동방법과 비슷합니다.

견갑골을 올려주는 동작을 할 때에 단축성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동작이 상부승모근의 운동 방법인 쉬러그와 같은 동작입니다.

쉬러그 동작과 같게 되면, 어깨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어깨가 올라가면 목은 앞으로 빠지게 되는 거북목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쉬러그와 반대로 어깨를 내려주는 동작을 하면 스트레칭이 되는 것입니다.

견갑거근 스트레칭

견갑거근의 위치를 보면 견갑골과 경추에 붙어 있어서 목을 옆으로 기우는 것이 스트레칭이 해당이 되고,

손을 올려서 더 당겨주어 더욱더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입니다.

 

방향은 대각선 방향으로 하여서, 견갑거근 방향으로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스트레칭을 계속하서 한다면 오히려 그 근육이 굳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스트레칭과 쉬러그의 운동을 같이 병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방법으로는 어꺠를 위로 올리고 내리고, 반복하여 어깨를 원를 돌리면서, 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