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거근(Levator Scapula) 사용 설명서~!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사용 설명서~!

by 우라아미님 2020. 7. 3.
728x90
반응형

목에는 많은 근육들이 존재합니다. 몸에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근육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목의 근육은 움직임을 만들고, 빠른 움직임 과도한 움직임에 사용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목이 빠른 움직임 과한 움직임을 만들게 되면 통증과 목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 자세로 오래 유지하게 되면 그것 또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 예로 빠른 움직임과 과한 움직임은 교통사고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만약 후방에서 100km로 달려오는 차가 내 차의 후면을 밖는 다면!? 처음 움직이는 곳은 어디일까요?? 

교통사고 후 가장 많은 후유증인 목 입니다. 후방에서 충격을 받게 되면 목이 뒤로 젖히게 되는데 이때 많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움직이지 않고 한 동작으로 오래 유지하는 것은 현대사회에 빠질 수 없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많은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회사원, 학생 등이 거북목과 목 통증이 오게 됩니다.

 

한 자세로 오래 유지하는 것에 가장 대표적인 자세는 거북목, 일자목이 됩니다.

 

많은 근육이 존재하고 다 설명을 해드리면 좋겠지만,  오늘은 견갑거근(Levator Scapula)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는 목과 견갑골(Scapula)과 연결이 돼있는 근육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견갑골(scapula)의 움직임과 자세에 많은 연관이 되게 됩니다.

 

특히 흉추에 굴곡 굽은 등이 연관이 되게 되는데, 흉추가 굽게 되면 목에도 많은 연관이 있어서 이렇게 견갑골(scapula)과 목을 연결해주는 근육이 중요합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의 위치에 대해서 먼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은 상부 승모근(Trapezius)과 함께 어깨를 으쓱 올리는 거상(elevation) 시키는 동작에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 모양

 

견갑거근(Levator Scapula) 

 

기지- 제 1~4번 경추 (cervical) 횡돌기

 

정지- 견갑골(Scapula) 상각,

        견갑골극 까지 척추 연

 

에 위치해 있고, 움직임은

 

작용- 견갑골 들어 올림, (거상-elevation)입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은 어깨를 으쓱 올리는 동작(거상-elevation)에 많이 사용되며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거북목, 어깨가 앞으로 말리는 경우에 많이 사용이 됩니다.

이때에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이 경직이 되고 근육에 힘이 약해지고, 혈액이 순환이 되지 않아서, 통증이 오고 근육의 경직으로 자세 또한 변화가 되게 됩니다.

 

출처 네이버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은 견갑골(Scapula)과 경추에 붙어 있기 때문에 견갑골과 경추는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출처 네이버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의 경직이 되거나 약해지게 되면 흉추가 굽어지게 되어 거북목이 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에 대한 운동법은 턱을 당겨서 목을 밀어주는 건데 쉽게 말해서 투 턱을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동작은 목의 굴곡근, 목젖 쪽에 있는 근육을 강화시켜주고, 후면 근육을 이완해주는 운동 동작이며, 이러한 동작을 하면 심하신 분들은 등까지 전달이 되며, 목과 등이 늘어나고 목 앞쪽 근육이 강화되며 목이 바로 슬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몸은 근육 하나하나 연결이 되어있다. 어느 근육 하나만 늘려주고 하나만 강화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한 동작에 쓰이는 근육들 중 약한 근육은 강화시켜주고 강한 근육은 스트레칭과 약화시켜 주므로 벨런스를 맞추는 것이 밸런스를 잡는 것이고 앞의 근육이 강하고 뒤에 근육이 경직이 되면 후면 근육은 이완이 되고 마찬가지로 경직이 되게 됩니다.

 

근육은 사용하여야 하고, 기능적으로 좋아야 합니다. 거북목이라고 꼭 통증이 오고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거북목에 쓰는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고 경직이 되게 하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몸에 존재하는 근육을 사용하고, 기능적으로 계속 살려놔야 통증이 오지 않고 건강한 몸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