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사용 설명서 ~!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사용 설명서 ~!

by 우라아미님 2020. 8. 6.
728x90
반응형

신체적으로 관절이라는 곳이 존재하게 됩니다. 관절은 뼈와 뼈를 이어주고, 움직임을 만들어 주는 곳으로 예를 들어서 상완골(humerus)과 견갑골(scapula)은 팔을 올리고 내리고 돌리는 곳에 사용이 되고, 복장뼈(sternum)와 갈비뼈(rip)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떄에 폐가 팽창하고 횡경막이 올라가게 되는데 이떄에 사용이 됩니다.

 

이처럼 단순하게 몸의 움직임을 만들어 주고 기능적으로 만들어 주는 관절이 있기도 하고 복장뼈(sternum)과 갈비뼈(rip)처럼 몸의 장기가 사용되는데에 도움을 주는 관절도 있습니다.

 

이처럼 관절이 존재하는데 이 관절을 움직이게 만드는 것이 인대와 근육 건 입니다. 

 

그중에 근육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앞에 관절을 이야기 했지만 신체적으로 가장 불안정하고 통증을 느끼는 곳은 어깨의 관절 입니다. 상완골(humerus)과 건갑골(scapula)의 관절만 있는것이 아니라 어깨에는 총 4개의 관절이 존재하게 됩니다.

 

1.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입니다.

견쇄 관절은 견봉과 쇄골을 연결 시켜주는 관절로 흔히 팔을 들어 올릴 때게 많이 사용되는 과절입니다. 

견쇄 관절에 지나가는 근육은 대표적으로 극상근(supraspinatus)가 지나가게 되는데 견쇄 관절에 인대가 짧아 지거나 문제가 생기면 극상근과 관절이 충돌하게 되고 그러면 충돌증후근이라는 질환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2.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

 

흉쇄 관절은 말 그대로 흉골과 쇄골에 있는 관절입니다. 흉쇄 관절은 복장뼈와 갈비뼈 그리고 횡경막이 움직일때에 사용하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호흡을 할때에 사용이 됩니다.

 

호흡은 들숨과 날숨이 있는데 쉽게 말해서 들숨을 들이 마쉬는것이고 날숨은 내밷는 호흡입니다. 

들숨을 할떄에 힝경막이 밑으로 내려가고 날숨을 할때에 횡경막이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떄에 흉쇄과절이 사용이 되어 부드러운 호흡과 횡경막에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흉쇄관절을 지나가는 근육으로는 대표적으로 대흉근(pectoralis major)과 소흉근(pectoralis minor)이 지나가게 됩니다.

 

3. 관절와상관절(gleno-humeral joint)

 

관절와상관절은 견갑골의 관절와 그리고 상완골이 이어지는 근육입니다. 관절와상관절의 특징은 두개의 관절면이 1:1이 아니라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관절와 보다 더 크게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회전근계의 근육들이죠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극상근(supraspinatus) 부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극상근(supraspinatus)은 회전근계의 근육에 속하는데요 극상근이 약해지거나 문제가 있게 되면, 

 

어깨에 질환적으로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에 대표적으로 충돌증후군이 그 질환에 속합니다.

 

극상근

극상근(supraspinatus) 

 

기시-견갑골(scapular)의 극상와

 

정지-상완골의 대결절

 

작용- 견관절의 외전 운동이 시작되면 상완골두를 고정 한다.

        

        견관절의 외전(adduction)

 

 

 

극상근은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질환과 많은 연관이 있기도 하지만 

 

운동을 좋아하고 즐겨하시는 분과 일상적으로도 문제가 많이 나타나는 근육입니다. 

 

극하근

극하근(infraspinatus)

 

기시- 견갑골(scapular)의 극하와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 

 

작용- 견관절의 외회전(Lateral rotation)

 

        견관절의 신전 (extention)

 

 

 

 

이렇게 극하근의 움직임까지 알아봤습니다.

 

극상근과 극하근의 운동법 및 스트레칭 사용법은 회전근계에 대한 설명을 드릴 떄에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전근계에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이렇게 4가지가 있는데 회전근계의 운동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같이 하도록 하겠습니다.

 

 



운동 전! 내가 어디에 운동을 할 것인가! 운동할 곳의 근육이 어떻게 작용하나 어찌 운동해야 하나 를 알면 

 

운동이 쉬워지고 재미있어집니다! 

모두 건강해지고 힘냅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