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거근(serratus anterior) 사용 설명서~!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전거근(serratus anterior) 사용 설명서~!

by 우라아미님 2020. 9. 1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거근(serratus anterior)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톱처럼 생겼다 그래서 앞 톱니근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전거근은 어깨 통증과 부상, 그리고 코어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근육입니다. 몸에 중심부에서 어깨를 움직임을 만들고 몸통에 안정성까지 책임을 지는 근육입니다.

 

전거근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몸에 형태와 이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하고 공부하고 하는데요 우리의 몸은 하나로 이어져 있다는 이론이 가장 확실히 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은 하나로 이어져 있다는 말이 무슨 말이냐면, 모든 근육이 이어져 있어서 한 곳이 고장이 나고 움직임이 어려워질 경우 다른 곳까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말입니다. 

문제가 될 경우 체형적으로 변화가 되게 되는데 이것을 보상작용이라 말을 합니다.

 

이러한 설명을 드린 이유는 전겨근이 코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기 위해서입니다.

먼저 전거근의 위치와 모양을 알아보겠습니다.

전거근

전거근(serratus anterior) 사진입니다.

기시- 위쪽 8번째 늑골의 바깥쪽 (1~8) 번에 붙어있다

정지- 견갑골(scapula)의 척추 연 (견갑골 바깥쪽에 아닌 안쪽에 붙어 있습니다)

작용- 견갑골의 전인(scapula proraction)

        견갑골의 상방 회전(scapula upward rotation)

        견갑골 흉벽 고정 (안정화)

 

전거근은 위에 글과 사진처럼 갈비뼈와 저번에 배웠던 견갑골의 ST관절 쪽에 연결이 되어 있고, 흔히들 톱니 같은 모양이라고 해서 한글로는 앞 톱니근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전거근의 약화와 사용을 못하게 되면 체형적으로 가장 큰 변화가 오게 됩니다. 

 

굽은 등, 익상 견갑도오게 되는데 전거근이 힘을 잃고 약해지게 되어 견갑골이 안정화가 되지 않아 견갑골이 옆으로 빠지게 되는 익상 견갑이 오게 됩니다.

 

익상견갑

 

이러한 문제가 오게 되면 몸 전체적으로 틀어지게 되어 전거근이 코어 근육이라고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전거근이 약해져서 먼저 굽은 등과 익상 견갑이 오게 되면, 흔히들 승모근이 올라갔다고 느끼게 되는데,

상부 승모근에 상승 그리고 목의 통증 거북목 일자목 등이 오게 됩니다. 그러면서 체형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기시점과 정지점 그리고 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왜 전거근이 견갑골에 안정화 작용을 하는지 

그리고 전거근(serratus anterior)이 왜 어깨에 대한  통증에 역향을 주는지 알아볼게요

 

전거근은 코어 근육 안정화를 힘쓰는데 근육인데 특히 어깨의 연관이 깊습니다. 그 이유는 위로 올라가서 전거근이 어디에 붙어 있는지를 보면 알 수 있는데, 견갑골(scapula)에 붙어 있어서 어깨의 움직임, 그리고 팔의 움직임이 생길 때에 사용이 되기 때문입니다. 

 

어깨와 팔을 사용하여 움직임이 나올 때에, 견갑골과 어깨의 통증이 오지 않도록 견갑골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근육이기 때문에 전거근의 약화가 되고 기능적으로 떨어지게 되면, 안정화가 떨어지어 앞에 설명한 익상 견갑이 되어 어깨의 통증이 일으키게 됩니다.

 

견갑골(scapula)에 움직임을 원활하고 유연하게 만들어 주고 흉추(thoracic)와의 작용도 원활하게 해서 어깨에 부담을 줄여주어 통증 및 질환에 도움이 됩니다.

 

 

전거근(serratus anterior)의 운동법으로는

 

전거근 운동

벽에 두 손을 붙여 준 후에 만세 하듯이 하늘로 올리는 동작인데, 이때 팔에 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 동작이 불편하시다면 품 롤러를 손과 벽 사이에 놓아서 폼롤러를 굴리듯이 해주는 것도 괜찮습니다.

 

이러한 동작과 전거근(serraus anterior)을 알아보았는데요 속에 있는 근육, 코어 근육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어 우리 몸을 아프지 않도록 신경 쓰고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몸은, 많은 근육이 골격을 움직이고, 골격이 움직이면 몸의 움직임이 생기게 됩니다. 그 움직임을 만들 때에, 근육의 기능적으로 움직여야 지만 움직임이 부드럽게 만들어지고 안정성이 있어야지만 부드러운 움직임에 통증까지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근육들이 코어 근육인데 안정성이 떨어질 때에는, 몸에 통증이 생기므로 평소 움직임을 만들고, 안정성을 강화하는 운동들을 해주어야 합니다. 

 

오늘 배운 것처럼 전거근은 코어 근육이 중요한 근육입니다. 안정성을 가지는 운동을 꾸준히 하여서 몸에 통증이 없고 건강한 몸을 만들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