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흉근 사용 설명서~!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대흉근 사용 설명서~!

by 우라아미님 2020. 8. 22.
728x90
반응형

오늘은 남자들의 로망이죠 가슴 근육! 대흉근(pectoralis maj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흉근은 가슴 근육으로 앞쪽 상체에서의 가장 큰 근육입니다. 헬스클럽에 가면 흔히 남성들이 많이 하는 운동이기도 하고 일명 갑빠라고 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가슴운동을 남자들이 많이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성들은 왜 하지 않을까요?? 

그것은 남자와 여자의 추구하는 라인, 체형이 틀리기 때문입니다. 남자들은 근육질한 몸매 잔근육이 많은 몸매 등을 원하지만 여성들은 S라인의 몸을 추구합니다. 다 그런건 아니겠지만요

 

그래서 남자들은 벨런스를 추구하고 닥부러진 어깨와 가슴근육 어깨근육 등을 많이 하고 여성들은 가슴운동을 하면 바스트가 작아질것을 우려하여 가슴이 근육으로 될것을 우려하여 많이 하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잘못된 상식이고 오히려 가슴운동을 해야지만 몸매가 더 이뻐지고 S라인이 잡히게 됩니다. 추구하는 몸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운동이기도 하고 가슴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몸에 부상이 오고 머리와 목 까지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는 팔을 앞으로 하는 생활을 하기 때문입니다. 밥을 먹을떄에나, 핸드폰을 할때 모두 팔을 앞으로 하고 있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가슴근육은 짧아 지게 되고, 등은 굽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통증도 오겠지만 남성과 여성 모두 몸매와 벨런스가 깨지게 되겠지요, 물론 등운동으로 등이 굽어지고 하는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운동만 하게 되면 앞과 뒤가 가지고 있는 근력이나 힘이 틀리므로 부상이 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많습니다.

그러므로 벨런스를 위해서는 꼭 가슴운동을 해주어야 합니다.

 

오늘 이 근육에 대한 운동법 그리고 체형을 맞추는 운동까지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 근육에 대한 어떻게 생겼는지 모양부터 설명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흉근 사진

기시-

쇄골두: 쇄골(clavicle) 내측 1/2

흉골두: 흉골, 1~6 늑연골

 

정지-

상완골 이두 근구의 외측순 

이렇게 부착이 되어있는데, 이름이 어려우므로 사진에 빨간 점은 기시, 파란 점은 정지로 보시면 편하실 겁니다.

 

작용으로는 3가지 있는데, 

견갑골의 수평 내전(horizontal adduction)

견갑골의 굴곡 (flexion)

견갑골의 내회전 (medial rotantion)

 

특이 한 점은 가슴 근육 대흉근은 쇄골두와 흉골두로 나누어지어 모두 견갑골의 움직임을 만들게 됩니다. 등의 운동이 움직이고 하여야지만 대흉근도 움직이게 됩니다.

 

가슴운동으로는 대표적으로 푸시-업과 벤치 프레스라는 운동이 존재하는데,

 

푸쉬업

푸시업은 양팔의 간격에 따라 대흉근의 바깥쪽, 안쪽이 결정이 됩니다. 

양팔을 넓게 할수록 바깥쪽, 양팔을 가깝게 할 수록 안쪽이 되게 되는데, 먼저 기본적인 동작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양팔을 어깨 넓이만큼 벌린 후에 실시하는데, 만약 손목이 아프거나 안 좋은 분들은 손의 모양을 세로가 아닌 가로로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내려갈떄에는 저 사진처럼 머리와 다리가 1자가 되어하여 내려가는데 상체가 숙여지거나, 하체만 내려가게 되면 운동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허리와 어깨 등에 부상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대흉근과 같이 큰 근육은  협동근으로 작은 근육이 존재하는데 상완삼두근이라는 근육이 존재합니다.

이 근육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거북목 사진

체형적으로는 가슴 근육이 발달이 많이 되게 되면 등이 굽게 되고

심하면 목까지 앞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거북목이 되는 것입니다.

 

대흉근 스트레칭

그러므로 가슴 근육을 스트레칭을 많이 해주시면서 운동을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오늘 대흉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상체 전면에서 근육으로 팔과 흉골까지 연결이 되어있는 근육입니다.

 

과도한 운동 혹은 운동을 하지 않아 호흡이 가빠지고 답답함을 느낀다면 이 또한 대흉근에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운동은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삼가 주기고 꾸준한 운동이 가장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