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목의 구조적인 원인과 증상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

거북목의 구조적인 원인과 증상

by 우라아미님 2023. 2. 21.
728x90
반응형

현대인들의 가장 많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목입니다.

그중에 체형적으로 많이 변화가 일어나고 통증도 유발하게 되는 거북목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jwr0825/222881201590

 

(과천PT/재활PT/멧피트니스) 정우림 트레이너의 거북목 스트레칭 방법 및 운동법

안녕하세요 재활 전문가 정우림 트레이너 입니다~ 저번 시간에 거북목에 통증을 개선하는 운동법과 기능성 ...

blog.naver.com

 

거북목이란? 

거북목 사진

 

만성적인 상체의 변형 혹은 보상작용으로 인한 체형의 변화로 증상입니다. 

머리가 인체 중심선에서 과도하게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몸의 정렬이 맞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에 머리의 무게가 몸 중심선보다 앞으로 솔리게 되면서 목 후면의 근육들에 대한 부하와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가 목의 통증까지 유발하게 되는데, 증상으로는 근육의 불균형, 목의 불편함, 통증, 피로를 유발하게 됩니다.

 

몸 전체의 구조적으로 보상 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경추 중반부의 신전과 아랫부분의 굴곡 그리고 흉추의 후 만과 어깨의 라운드 숄더까지 동반이 되게 됩니다. 어떠한 것이 먼저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한 개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면 다른 것까지 일어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세가 일어나는 원인은 잘못된 근육의 사용으로 인한 움직임 패턴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정을 위해서는 경추 한 부분만이 아닌 어깨와 흉추 까지 교정을 해야지만 정렬적인 자세가 만들어집니다.

 

거북목 골격 사진

 

맨 처음 사진은 정렬적인 목의 사진이고 마지막의 목은 부정렬, 거북목이 된 목의 상태입니다.

 

목의 메커니즘

구조적인 메커니즘

경추의 중반부의 신전으로 인한 후관절의 압박 증가입니다. 

 

후관절이란? 

경추의 극돌기와 극돌기 사이의 이어지는 관절을 후관절이라고 합니다.

 

경추 하부(C6~C7)의 감소된 전만 및 전방 번형

흉추의 후만-> 굽은 등을 이야기합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구조적인 이유는 이렇게 존재하게 됩니다.

 

그렇가면 목의 구조적인 부정렬을 어떻게 측정을 할까요? 

목의 부정렬 사진

 

위 사진을 보면 경추 2번을 중심으로 경추 7번의 후방 위쪽의 중심서 사이를 측정하면 알 수 있습니다. 만약 4cm 이상이면 부정렬 4cm 미만이면 정상적인 정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병원 X-ray로 볼 수 있습니다.

 

구조적인 메커니즘 1-1

경추는 흉추와 연관이 깊습니다.  특히 기능적인 것에 연관이 많이 되어있습니다. 

경추의 기능부전을 가진 사람일수록 흉추의 더 큰 후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경추의 통증과 움직임 장애와 흉추의 후 만과 연관성이 깊었습니다.

목 영향애 관한 그래프

위에 구조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a의 경우는 흉추의 후만이 증가가 된다면 거북목의 자세를 유발하게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b의 경우는 거북목은 경추의 굴곡 및 회전의 가동범위를 감소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특이점은 경추의 신전과는 무관합니다.

c의 경우는 흉추의 후만은 거북목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몸의 정렬까지 변형을 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목의 회전 및 굴곡의 가동범위의 감소 또는 움직임 손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흉추의 후만이 발생할 경우 거북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세에 따른 목의 변화

몸의 자세에 따라서 어떠한 근육이 활성화되고 몸의 정렬이 변형이 되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A, B, C의 자세를 살펴보았습니다. A는 슬럼프 자세 B는 흉추 직립자세 C는 요추 직립자세입니다.

 

 

 

A 슬럼프 자세에 경우는 다른 주 자세와 비교하여 머리와 목의 굴곡 및 전방 변형이 증가가 되었습니다.

B 흉추 직립 자세의 경우의 다른 두 자세와 비교하여 머리와 목의 굴곡이 감소하여 후방 변형이 증가가 되었습니다.

C 요추-골반 직립 자세의 경우는 슬럼프 자세와 흉추 직립자세보다는 상재덕으로 머리와 머리의 정렬이 중립을 이루고 있습니다.

 

C의 자세가 정렬적인 자세이며 거북목이 일어나지 않은 자세입니다.

 

목 근육 관련 그래프

 

다른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A 슬럼프의 자세에 경우는 다른 두 자세와 비교하여 경추기립근의 활성화가 증가하였습니다.

B 흉추 직립 자세의 경우는 슬럼프 자세와 비교하였을때 경추기립근 및 상부승모근의 활성화가 감소되었습니다. 반면 흉추의 신전으로 인해 흉추의 활성화는 증가가 되었습니다.

C 요추 골반 직립자세는 슬럼프 자세와 비교하였을 떄 경추/흉추기립근 및 상부승모근 모두의 활성화가 감소하였습니다.

 

위 2개의 그래프를 살펴본 결과 슬럼프 자세가 몸의 변화를 가장 많이 가지고 가고, 거북목을 가장 많이 유발하게 됩니다. 

 

 

거북목 사진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