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사용 설명서~!!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대퇴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사용 설명서~!!

by 우라아미님 2021. 1. 3.
728x90
반응형

오늘은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은 장경인대 쪽에 붙어 있고, 대퇴골의 옆쪽에 붙어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생활중에 많이 쓰이는 근육과 근막입니다.

 

그전에 먼저 어떻게 위치해 있는지 알아볼게요

대퇴 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은 TFL이라고 단축해서 불르기도 하는데,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기시점은 장골능 에 부착되어 있고, 정지점은 장경인대에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작용도 중요한데요 작용은 보행 시에 신전된 슬관절이 무너지지 않도록 방지해주고, 고관절 외전 보조, 내회전, 굴곡 그리고 슬관절의 신전을 해주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의 정지점이 장경인대에 연결돼 있기 때문에,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이 짧아지는 단축성 수축과 같은 문제가 오면 장경인대에 문제가 오게 되는데 장경인대가 문제가 오면 슬관절, 무릎이 흔들리고 불안해 해지는 경우가 많고, 무릎까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이 장경인대에 붙어서 슬관절까지 연결이 돼있기 때문에 무릎에도 연관이 되는데,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문제가 되게 되면 무릎에 바깥쪽으로 통증이 오게 됩니다.

그 예로는 자전거를 많이 타거나, 오래 걸음을 걸었을 경우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좌식생활을 많이 하고 특히 양반다리로 많이 앉게 되는데 작용으로 고관절의 움직임이 외전을 보조하고 내회전을 담당하기 때문에 단축성으로 많이 문제가 오게 됩니다.

 

대퇴 근막 장근(tensor골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반에 외전과 내회전 굴곡까지 작용을 하기 때문에 골반과 영향이 많은데요, 그리고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골반의 장골 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골반에도 영향이 미치는데요,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이 문제가 되면 골반에 움직일 때에 외전 보조와 내회전이 영향이 미치므로 골반에도 영향이 미치게 됩니다.

그래서 특히 보행 시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은 자주 스트레칭을 해주고 단축성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폼롤러를 이용하여 풀어 주는 것인데요,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몸을 옆으로 누운 자제에서 시작하는데요, 사진에서 보듯이 폼롤러를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에 위치해서 댄 후 몸을 위아래로 움직이며,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을 마사지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게 되면 단축성으로 수축이 돼있던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이 많이 풀리게 됩니다. 

이곳을 풀리게 되면 무릎과 골반에 대한 통증이 많이 사라지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