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의 사용 설명서~!
본문 바로가기
신체적 건강/건강한 근육 사용법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의 사용 설명서~!

by 우라아미님 2021. 1. 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ㅎㅎ 우리 몸에는 많은 근육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근육 중에서 필요 없는 근육은 없습니다. 

근육마다 벨런스가 중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한데, 이 벨런스와 안정성이 깨지게 된다면... 통증이 오고 질환이 오게 되는데, 오늘 알아보고 볼 근육은 전완근입니다.

 

전완근은 손목과, elbow 엘보 사이에 근육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신근과 굴근 2가지로 나누게 되는데 이를 나누는 요인은 손가락 관절에 움직임입니다. 손가락이 접히는지 혹은 펴지는지 이 2가지로 신근과 굴근을 나누게 됩니다.

그와는 별개로, 신근과 굴근이 아닌 근육들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 입니다.

 

오늘 배울 근육은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과 상완근(bachialis)입니다.

먼저 이 두 가지 근육이 어떻게 생기었고, 어디에 부착되는지, 어떠한 작용을 하며 어떻게 운동을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입니다.

상완요골근의 사진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은

기시점: 상완골 외측상과 융선에 붙어있고,

정지점: 요골 경상돌기에 붙어 있으며, 

작용:은 주관절의 굴곡입니다.

 

다음은 상완근(bachialis)입니다.

상완근(bachialis)은

기시점:상완골의 전면 내부 1/2이고

정지점: 척골의 조면

작용: 주관절의 굴곡입니다.

 

제가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과 상완근(bachialis)이 두 가지 근육을 같이 설명을 해드린 이유는, 다른 굴곡근과 신근들은 손가락을 굴곡시키거나 신전시키는 근육이지만 설명해드린 2가지 근육은 손목이 아닌 주관절 (elbow)의 굴곡을 시키는 근육으로 사용이 되게 됩니다.

그중에서 2가지 근육이 쓰이는 방향이 틀리네요,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은 전완근이 중립자세에 있을 때에주관절 (elbow)이 굴곡을 하며 상완근(bachialis)은 전완근이 회내 했을 때에 작용이 된다.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이상완근(bachialis) 보다 큰 힘을 사용하기 때문에 강한 힘, 큰 힘을 사용할 때에는, 전완근을 굴곡시킨 자세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의 운동법으로는 해머 컬 운동으로 손을 중립자세에서 올리는 동작인데요,

이때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의 사용이 많이 지게 됩니다. 많은 중량보다는 집중력으로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처럼

해머컬운동

그리고 상완근(bachialis)에 운동법은 거의 모든 팔 운동 시에 쓰이기 되는데요, 주관절에 대한 굴곡이 있기 때문인데요

그중에서도 리버스 컬이 상완근(bachialis)에 해당되는데요, 그 이유는 손이 회내 되어 이는 상태에서 주관절을 굴곡시키기 때문입니다.

리버스컬 운동

이러한 운동법도 있지만 2가지 근육은 엘보 통증에도 연관이 있습니다.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는 이 2가지 근육이 약해질 때에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니스 엘보는 바깥쪽에 통증이 오는 것이고 골프 엘보는 안쪽에 오는 것을 이야기하는데요,

전완근에 골격을 보면 요골은 바깥쪽에 척골은 안쪽에 붙어 있게 되는데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은 요골에 붙어있고 상완근(bachialis)은 척골에 붙어 있기 때문에, 각각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육이 강하고 벨런스가 맞아야 지만 통증이 없는 것입니다. 

보이고 싶은 곳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벨런스를 챙겨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