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해부학22

광배근(latissmus dorsi) 운동 방법 광배근은 몸에 바른 자세를 만들기 위해서 큰 작용을 하는 근육입니다. 광배근은 7번 흉추와 장골능 그리고 견갑골과 상완골 이두 근구에 붙어 있어서 어깨가 올라가는 것에 영향을 주는 근육입니다. 어깨가 올라가게 되면, 목이 앞으로 나오게 되어 거북목까지 진행이 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근육입니다. jwr0825.tistory.com/entry/%EA%B4%91%EB%B0%B0%EA%B7%BC-%EC%82%AC%EC%9A%A9-%EC%84%A4%EB%AA%85%EC%84%9C 광배근 사용 설명서~! 오늘은 광배근(latissmus dors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광배근은 어떠한 근육일까요? 저희들이 흔히 활배근 이라고 불리는 근육인데요 한글로는 넓은 등근이라고 합니다. 이름 대 jwr082.. 2021. 1. 26.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is), 요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천지 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사용 설명서~! 저번에 전완근에 신근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굴근에 대한 것과 사용 설명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오늘은 3가지를 설명해 드릴건데,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 요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천지 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3가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이 세가지 근육은 손목을 굴곡시킬 때 사용되는 근육인데요, 신근과 굴근의 벨런스가 이루어야지만 손목 혹은 엘보에 통증이 생기지 않습니다. 요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기시- 상완골 내측상과(medial epicondyel of humerus) 정지- 제2,3 중수골(metacarpals) 기저부 작용- 손목의 굴곡,.. 2021. 1. 24.
상부승모근(trapazius)말고 중부,하부 승모근 운동 방법! 근육에 대한 공부를 마치면 어떻게 운동을 하는지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승모근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 때 쉬러그와 같은 상부 승모근 운동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상부 승모근이 아닌 중부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운동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상부승모근은 쉬러그처럼 어깨를 위로 올리는 동작이 많아서 난이도나 올리기 위해서는 사진처럼 중량을 주는 방법으로 덤벨이나 바벨을 올리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중부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경우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근육이기도 하고 기능적인 사요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극을 느끼거나 운동을 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게 난이도가 맞는 운동을 하셔야 합니다. 운동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중부승모근의 운동 방법과 주의 사항에 .. 2021. 1. 22.
손목의 통증, 전완근 신근 근육 사용 설명서~! 우리 몸에는 정말 많은 관절이 존재합니다. 발목 무릎 골반 허리 목 어깨 손목 등이 있습니다. 관절은 뼈와 뼈를 이어주는 곳을 말하게 되는데, 손가락 마디마디 발가락 마디마디가 관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처럼 정말 우리 몸에는 많은 관절이 존재하게 됩니다. 관절이 존재하지만 이 관절을 움직이고, 부드럽게 해주는 것이 바로 근육입니다.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통해서 뼈를 움직이고 뼈가 움직이면서 관절이 사용 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근육이 문제가 생기게 되면 뼈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는데, 더 심해지게 되면 ROM-가동범위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기능적으로도 문제가 생기게 되면, 통증이 오게 되어 질환 염증까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우리 몸에서 가장 얇은 곳이라고 .. 2021. 1. 15.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의 사용 설명서~! 안녕하세요 ㅎㅎ 우리 몸에는 많은 근육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근육 중에서 필요 없는 근육은 없습니다. 근육마다 벨런스가 중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한데, 이 벨런스와 안정성이 깨지게 된다면... 통증이 오고 질환이 오게 되는데, 오늘 알아보고 볼 근육은 전완근입니다. 전완근은 손목과, elbow 엘보 사이에 근육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신근과 굴근 2가지로 나누게 되는데 이를 나누는 요인은 손가락 관절에 움직임입니다. 손가락이 접히는지 혹은 펴지는지 이 2가지로 신근과 굴근을 나누게 됩니다. 그와는 별개로, 신근과 굴근이 아닌 근육들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 입니다. 오늘 배울 근육은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과 상완근(.. 2021. 1. 5.
대퇴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사용 설명서~!! 오늘은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은 장경인대 쪽에 붙어 있고, 대퇴골의 옆쪽에 붙어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생활중에 많이 쓰이는 근육과 근막입니다. 그전에 먼저 어떻게 위치해 있는지 알아볼게요 대퇴 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은 TFL이라고 단축해서 불르기도 하는데, 기시점은 장골능 에 부착되어 있고, 정지점은 장경인대에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작용도 중요한데요 작용은 보행 시에 신전된 슬관절이 무너지지 않도록 방지해주고, 고관절 외전 보조, 내회전, 굴곡 그리고 슬관절의 신전을 해주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의 정지점이.. 2021. 1.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