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운동20

운동 부족병을 조심하세요~! 2020년에는 우리 모두 집에 있었습니다. 자의적이 아닌 타의적으로 집에 있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서 말이죠... 식당을 가는 것 보단 배달을 시켜 먹었고요, 회사를 가는 것보단 자택 근무를 하고 오프라인으로 쇼핑을 가는 것보다는 온라인으로 주문을 하고 택배를 시켰습니다. 평소에 운동을 즐기고 헬스클럽에 가던 헬린이(헬스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홈트레이닝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지식와 의지의 부족으로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운동을 중간에 그만두는 사람이 많아지고, 방콕과 집콕으로만 생활을 하게 되어 확찐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운동부족으로 인해 확찐자가 되게 되었는데요, 확찐자는 집에만 있어서 활동적이지 못하게 되다 보니 살이 많이 찌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확찐자가 살만.. 2021. 1. 12.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의 사용 설명서~! 안녕하세요 ㅎㅎ 우리 몸에는 많은 근육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근육 중에서 필요 없는 근육은 없습니다. 근육마다 벨런스가 중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한데, 이 벨런스와 안정성이 깨지게 된다면... 통증이 오고 질환이 오게 되는데, 오늘 알아보고 볼 근육은 전완근입니다. 전완근은 손목과, elbow 엘보 사이에 근육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신근과 굴근 2가지로 나누게 되는데 이를 나누는 요인은 손가락 관절에 움직임입니다. 손가락이 접히는지 혹은 펴지는지 이 2가지로 신근과 굴근을 나누게 됩니다. 그와는 별개로, 신근과 굴근이 아닌 근육들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근(bachialis) 입니다. 오늘 배울 근육은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과 상완근(.. 2021. 1. 5.
대퇴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 사용 설명서~!! 오늘은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은 장경인대 쪽에 붙어 있고, 대퇴골의 옆쪽에 붙어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생활중에 많이 쓰이는 근육과 근막입니다. 그전에 먼저 어떻게 위치해 있는지 알아볼게요 대퇴 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은 TFL이라고 단축해서 불르기도 하는데, 기시점은 장골능 에 부착되어 있고, 정지점은 장경인대에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작용도 중요한데요 작용은 보행 시에 신전된 슬관절이 무너지지 않도록 방지해주고, 고관절 외전 보조, 내회전, 굴곡 그리고 슬관절의 신전을 해주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대퇴 근막 장근(tensor fasciae latae)의 정지점이.. 2021. 1. 3.
중둔근(gluteus medius)의 사용 설명서~!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를 드립니다. 마지막 개시물을 보면 대둔근(gluteus maximus)을 설명해 드렸어요 둔근에 중요성과 안정성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요!? 3가지 둔근 대둔근(gluteus maximus) 중둔근(gluteus medius) 소둔근(gluteus minimus) 3가지중에 안정성을 제일 중요한근육이 중둔근(gluteus medius)입니다. 그이유는 겉에 있는 근육이 아닌 속에 있는 근육이기 때문입니다. 겉에 있는 근육은 움직임을 만들어서 보행을 하는것에 쓰이고 하체를 사용할떄 사용이 됩니다. 그리고 속에 있는 근육은 이러한 움직임에 몸이 흔들리고 안정성있고 힘있게 하기 위해서!! 속근육의 안정성을 담당하게 됩니다!. 중둔근(gluteus medius) 기시점은 장골능, 장골.. 2020. 12. 28.
대둔근(gluteus maximus) 사용 설명서~! 엉덩이 근육은 우리 몸에 중심을 잡는 근육입니다. 하체에서 핵심적인 근육이기도 하고, 상체에서도 중심을 잡아주는 근육입니다. 먼저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상체를 보았을 때, 앉아 있을 때에 엉덩이가 앉는 부분에서 몸에 중심을 잡게 되며 엉덩이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할 때에 몸 전체가 기울게 되어 허리 , 어깨, 목까지 부상이 올 수 있습니다. 하체는 엉덩이가 가장 위에 있습니다. 대퇴골을 사용할때에 사용이 되며 엉덩이의 사용이 불안정하거나 불편해지면 하체의 사용 또한 불편해지고 무릎에 통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엉덩이도 우리의 모든 기관들과 마찬가지로 골격과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에 골반(pevic)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골반은 몸에서 허리 밑에 있는 관절입니다. 골반이 어떻게 움직이냐에 따라.. 2020. 10. 1.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사용 설명서~! 우리 몸에서 이두박근 팔근육, 알통 불리는 근육과 그와 상반되는 근육에 사용 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팔 근육이라고 말하는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이 두 근육이 대표적입니다. 팔근육의 모양은 근육의 이름처럼 생겼습니다. 말 그대로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어 장두와 단두로 나뉘어서 다른 기능적으로 수행을 하고,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은 세 갈래로 나뉘어 있습니다. 장두 내측두 외측두로 나뉘는데 오늘 이 두 근육을 같이 설명하는 이유는 팔꿈치 통증과 관련이 있기습니다. 그리고 두 근육은 상반되는 길항근인데, 벨런스에도 중요한 역활을 하기 때문에 입니다. 먼저 상완이두근(biceps .. 2020. 9.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