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우리미
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1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사용 설명서 ~! 신체적으로 관절이라는 곳이 존재하게 됩니다. 관절은 뼈와 뼈를 이어주고, 움직임을 만들어 주는 곳으로 예를 들어서 상완골(humerus)과 견갑골(scapula)은 팔을 올리고 내리고 돌리는 곳에 사용이 되고, 복장뼈(sternum)와 갈비뼈(rip)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떄에 폐가 팽창하고 횡경막이 올라가게 되는데 이떄에 사용이 됩니다. 이처럼 단순하게 몸의 움직임을 만들어 주고 기능적으로 만들어 주는 관절이 있기도 하고 복장뼈(sternum)과 갈비뼈(rip)처럼 몸의 장기가 사용되는데에 도움을 주는 관절도 있습니다. 이처럼 관절이 존재하는데 이 관절을 움직이게 만드는 것이 인대와 근육 건 입니다. 그중에 근육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앞에 관절을 이야기 했지만 신체적으로 가장 불안정하고 통증을 느끼는.. 2020. 8. 6.
삼각근(Deltoid) 사용 설명서 ~! 오늘은 어깨에 대한 근육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어깨는 우리 몸에서 가장 불안정한 관절입니다. 그 이유는 어깨라 불리는 곳에 많은 관절들이 존재하고 있고,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GlenoHumeral Joint 견상관절 GlenoHumeral Joint 한글로는 견상관절 입니다. 상완골과 견갑골을 이어주는 관절로 인대와 근육 등이 존재하여서 관절을 사용하고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근육으로는 회전근개 근육인 극상근과 극하근이 붙어 있습니다. acromioclavicular joint 견쇄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한글로는 견쇄관절입니다. 견봉과 쇄골을 이어주는 관절로 견상 관절과 바찬 가지로 인대와 근육 등이 이어지지는 곳으로 극상근이 이어집니다. sternoclavicula.. 2020. 7. 12.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사용 설명서~! 목에는 많은 근육들이 존재합니다. 몸에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근육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목의 근육은 움직임을 만들고, 빠른 움직임 과도한 움직임에 사용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목이 빠른 움직임 과한 움직임을 만들게 되면 통증과 목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 자세로 오래 유지하게 되면 그것 또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 예로 빠른 움직임과 과한 움직임은 교통사고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만약 후방에서 100km로 달려오는 차가 내 차의 후면을 밖는 다면!? 처음 움직이는 곳은 어디일까요?? 교통사고 후 가장 많은 후유증인 목 입니다. 후방에서 충격을 받게 되면 목이 뒤로 젖히게 되는데 이때 많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움직이지 않고 한 동작으로 오래 유지하는 것은 .. 2020. 7. 3.
무지외반증과 이쁜신발 우리 몸에서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곳이 있습니다. 그곳은 바로 발인데요, 한의학으로 들어가면, 발에는 모든 장기 및 기관들로 이어지는 자리가 있어서 발이 건강하면 몸이 건강하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체형적으로 볼떄에 자세가 틀어지거나, 척추 층만증 등에 증상을 볼 때에, 100%가 그런 건 아니지만 발의 모양이 걸음걸이로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자걸음, 안장 걸음과 같은 잘 못된 걸음걸이가 몸의 육체적인 문제를 발생하기도 하며 또한 몸속 장기까지 문제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발에는 족궁이라는 뽈록한 곳이 있습니다. 이곳은 걷게 되거나 뛰게 될 때에 지면에서 올라오는 지면발력이라는 발력이 있는데 이것을 흡수하고 종아리와 정강이에 전해지는 부하는 적게 해 주는 역할까지도 합니다. 족궁이 무너지.. 2020. 6. 16.
대원근, 소원근 사용 설명서~! 오늘의 설명 드릴 근육은 대원근(teres major) 소원근(teres minor)입니다. 대원근(teres major)과 소원근(teres minor)은 작은 근육입니다. 작은 근욱이긴 하지만 꼭 필요한 근육입니다. 대원근(teres major)은 저번에 소개 드리든 광배근(latissmus dorsi)와 근육의 결이나, 하는 작용이 똑같은습니다. 그래서 광배근(latissmus dorsi) 밑에 덮어 있니 때문에, 광배근(latissmus dorsi) 보조역활을 하면서 안정성 역활도 같이 하게 됩니다. 대원근(teres major)에 문제가 생겨 보조역활을 못하게 되고, 안정성이 떨어 지게 되면 elbow의 통증이 올 수도 있고 심하면 어깨에 대한 통증 까지 올 수 있습니다. 소원근(teres mi.. 2020. 6. 15.
광배근 사용 설명서~! 오늘은 광배근(latissmus dors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광배근은 어떠한 근육일까요? 저희들이 흔히 활배근 이라고 불리는 근육인데요 한글로는 넓은 등근이라고 합니다. 이름 대로 넓은 등을 가지기 위해서 꼭 필요한 운동이고, 팔의 사용 그리고 어깨의 변형과도 많은 연관이 있는 근육입니다. 이 광배근(latissmus dorsi)의 근육이 약하거나 경적이 되어 있을 경우에 상완골의 높이가 변형이 생기게 되고 어깨가 올라가고, 견갑골(scapulra)또한 올라가게 됩니다. 승모근(trapezuis)도 어깨를 덮는다고 말하는데 거북목, 일자목 까지도 올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들이 광배근(latissmus dorsi)의 약화와 기능적인 저하로 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광배근(l.. 2020. 6. 11.
728x90